민스트럴 보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민스트럴 보이"는 아일랜드의 독립과 자유를 노래하는 시가 담긴 곡으로, 토머스 무어의 "아일랜드 멜로디"에 수록되어 1813년에 출판되었다. 이 곡은 아일랜드의 전통 악기인 하프를 통해 아일랜드 민족 정신을 상징하며, 전쟁터로 떠난 음유시인의 용기와 자유를 향한 열망을 담고 있다. "민스트럴 보이"는 다양한 예술 작품에 영향을 미쳤으며, 여러 음악가들에 의해 연주되고 녹음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일랜드의 시 - 필리
필리는 아일랜드 게일 사회에서 시인이자 예언가, 역사가로서 중요한 사회적, 정치적 역할을 수행했던 전문 계급으로, 왕권 계승 의례 참여와 풍자를 통해 영향력을 행사했으며 구전 전통을 통해 아일랜드 신화와 서사 문학 보존에 기여했다. - 아일랜드의 시 - 오이진의 방랑
오이진의 방랑은 악마에게 사로잡힌 여성을 구출하고 요정 공주와 불멸의 삶을 살며 세상의 종말을 기다리는 거인들을 만나는 등 방랑하는 오이진의 삶과 고뇌, 그리고 아일랜드 귀환 후 사회 부적응으로 겪는 비극적인 결말을 통해 고독과 방랑, 사회 부적응을 다루는 작품이다. - 1798년 아일랜드 반란 - 라이징 어브 더 문
라이징 어브 더 문은 존 키건 캐시가 1798년 아일랜드 봉기를 소재로 지은 아일랜드 민요로, 독립군 상황 묘사와 페니언 봉기 영감을 통해 아일랜드에서 널리 불리며 대중문화에서도 사용된다. - 1798년 아일랜드 반란 - 연합 아일랜드인회
연합 아일랜드인회는 1790년대 아일랜드 독립과 공화주의를 목표로 결성된 비밀 결사로, 1798년 아일랜드 반란을 주도했으나 실패하고 아일랜드 민족주의 운동에 영향을 미쳤다. - 혁명을 소재로 한 작품 - 라이징 어브 더 문
라이징 어브 더 문은 존 키건 캐시가 1798년 아일랜드 봉기를 소재로 지은 아일랜드 민요로, 독립군 상황 묘사와 페니언 봉기 영감을 통해 아일랜드에서 널리 불리며 대중문화에서도 사용된다. - 혁명을 소재로 한 작품 - 역전재판 6
역전재판 6은 캡콤에서 개발한 에이스 변호사 시리즈 게임으로, 나루호도 류이치, 호시카게 마코토, 키즈키 아카네가 변호사가 되어 의뢰인을 변호하며, 전작으로부터 1년 후 나루호도가 쿠라인 왕국으로, 아폴로와 아테나가 웨이트 법률 사무소를 배경으로 활약하는 이야기를 담고 있고 새로운 영매 시스템과 아야사토 마요이를 비롯한 기존 및 새로운 캐릭터들이 등장한다.
민스트럴 보이 | |
---|---|
기본 정보 | |
장르 | 애국가, 민요 |
작사 | 토머스 무어 경 |
작곡 | 아일랜드 민요: The Moreen |
발표 연도 | 1813년 |
내용 | |
주제 | 자유, 조국애, 희생 |
음원 정보 | |
기타 | |
관련 작품 | A. J. 크로닌의 소설 도노반의 음반 |
2. 가사
In the ranks of death ye will find him;
His father's sword he hath girded on,
And his wild harp slung behind him;
"Land of Song!" said the warrior bard,
"Tho' all the world betray thee,
One sword, at least, thy rights shall guard,
One faithful harp shall praise thee!"
The Minstrel fell! But the foeman's chain
Could not bring his proud soul under;
The harp he lov'd ne'er spoke again,
For he tore its chords asunder;
And said "No chains shall sully thee,
Thou soul of love and bravery!
Thy songs were made for the pure and free
They shall never sound in slavery!"
다른 버전
- 스페인어 번역: 쿠바의 시인 라파엘 마리아 데 멘디베는 "아일랜드 멜로디" 전체를 스페인어로 번역하여 1863년 뉴욕에서 『토마스 무어의 아일랜드 멜로디』(Melodías irlandesas de Thomas Moorees)라는 제목으로 출판했다. 그의 번역은 쿠바 민족주의의 영향을 받았는데, "민스트럴 보이"를 번역한 El Trovador|엘 트로바도르es는 원곡만큼이나 격정적인 어조를 띤다. 그는 "긍지 높은 영혼"(proud soul)을 espíritu patriota|에스피리투 파트리오타es(애국적 정신)로 번역하고, esclavos|에스클라보스es(노예)에 대한 언급을 유지했다. 이는 당시 쿠바에서 노예제가 약 20년 후에야 폐지될 예정이었기에 매우 직접적인 정치적 의미를 지녔다. 멘디베 번역의 마지막 네 줄은 다음과 같다.
¡No profanen tus cuerdas los esclavos,
Arpa de amor, cuando sublime vibras,
Que sólo escuchen tu sonido bravos
Pechos que guardan corazón de libres!
- 단일 절 버전: 내용을 압축한 단일 절 버전도 존재한다.
The minstrel boy to the war is gone,
In the ranks of death you will find him
His father's sword he has girded on,
And his wild harp slung behind him;
Land of song, sang the warrior bard,
Though glory bids him roam,
His harp belongs to the brave and free
And shall never sound in slavery!
- 미국 남북전쟁 버전: 미국 남북 전쟁 동안, 작자 미상의 인물이 세 번째 절을 추가했으며, 이 절은 때때로 노래 연주에 포함된다.
The Minstrel Boy will return we pray
When we hear the news we all will cheer it,
The minstrel boy will return one day,
Torn perhaps in body, not in spirit.
Then may he play on his harp in peace,
In a world such as heaven intended,
For all the bitterness of man must cease,
And ev'ry battle must be ended.
2. 1. 한국어 번역 가사
1전사 소년은 전쟁에 나섰네,
죽음의 대열에서 그를 찾으리라;
그의 아버지의 칼을 차고,
거친 하프를 그의 뒤에 걸었네.
"노래의 땅!" 전사 시인이 말했네,
"온 세상이 너를 배신할지라도,
''하나''의 칼만이라도 너의 권리를 지킬 것이고,
''하나''의 충실한 하프가 너를 찬양하리라!"
2
그 전사는 쓰러졌네!—그러나 적의 사슬은
그 긍지 높은 영혼을 굴복시킬 수 없었네;
그가 사랑했던 하프는 다시 울리지 않았네,
그는 그 현을 찢어 버렸네;
그리고 말했네, "어떤 사슬도 너를 더럽힐 수 없으리,
사랑과 용기의 영혼이여!
너의 노래는 순수하고 자유로운 자들을 위해 만들어졌으니,
그것들은 결코 노예제도 속에서 울리지 않으리라."
3. 내용 분석
하프는 아일랜드의 전통 악기로, 한국의 가야금처럼 아일랜드인들의 정체성을 상징한다. 아일랜드의 국장이 하프인 것도 이러한 이유 때문이다. 이 노래는 아일랜드의 독립과 자유를 위해 독립 투쟁에 참여한 어린 민스트럴(음유시인)의 이야기를 다루고 있으며, 특히 그가 가진 하프에 초점을 맞춘다. 여기서 하프는 단순한 반주 악기가 아니라 아일랜드 민족 정신 그 자체를 상징하는 중요한 요소이다.
"민스트럴 보이"는 다른 여러 "아일랜드 멜로디"처럼 우울하고 향수를 자아내는 분위기를 지닌다. 노래의 중심 이미지는 분열된 아일랜드를 낭만적으로 상징하는 하프이다. 그러나 무어와 동시대 작가들의 다른 아일랜드 정치 노래들과는 달리, 미래의 회복에 대한 약속은 명확히 제시되지 않는다. 대신, "전사 시인"은 노예제와 같은 억압 속에서 침묵을 강요당하는 상황에 놓인다.
무어의 노래에 담긴 미묘한 정치적 견해는 초기 미국 청중들에게는 제대로 이해되지 못했다. 그들은 노래에서 드러나는 자유와 해방이라는 명확한 주제를 선호했으며, 이는 당시 유행하던 민주주의에 대한 낭만적 이상과 부합했다. 하지만 노예제에 대한 비판적인 언급은 간과되었다. 정작 무어 자신은 1800년대 초 미국과 캐나다를 여행하며 당시 미국에 여전히 존재하던 노예제에 대해 매우 비판적인 시각을 갖게 되었고, 1806년에는 미국의 미래에 대한 희망을 버렸다고 실망감을 표현하기도 했다.
현대 문학 교수이자 『캠브리지 동시대 아일랜드 시집』(2003)의 편집자인 매튜 캠벨은 하프, 칼, "노래의 땅"과 같은 이미지가 "이중 문화 및 정치적 상징성을 지나치게 강조"하며, 노래의 "과장된" 표현이 바토스(진지함 속의 급격한 비약)를 만들어내 여름의 마지막 장미와 같은 작품의 섬세함과 대조된다고 비판했다. 반면, 극작가 조지 버나드 쇼는 『존 불의 또 다른 섬』 서문에서 이 가사를 "선견지명이 있는" 것으로 높이 평가했다.
원래 가사는 다음과 같다.
:1절
:전사 소년은 전쟁에 나섰네,
:죽음의 대열에서 그를 찾으리라;
:그의 아버지의 칼을 차고,
:거친 하프를 그의 뒤에 걸었네.
:"노래의 땅!" 전사 시인이 말했네,
:"온 세상이 너를 배신할지라도,
:''하나''의 칼만이라도 너의 권리를 지킬 것이고,
:''하나''의 충실한 하프가 너를 찬양하리라!"
:2절
:그 전사는 쓰러졌네!—그러나 적의 사슬은
:그 긍지 높은 영혼을 굴복시킬 수 없었네;
:그가 사랑했던 하프는 다시 울리지 않았네,
:그는 그 현을 찢어 버렸네;
:그리고 말했네, "어떤 사슬도 너를 더럽힐 수 없으리,
:사랑과 용기의 영혼이여!
:너의 노래는 순수하고 자유로운 자들을 위해 만들어졌으니,
:그것들은 결코 노예제도 속에서 울리지 않으리라."
쿠바의 시인 라파엘 마리아 데 멘디베는 "아일랜드 멜로디" 전체를 스페인어로 번역하여 1863년 뉴욕에서 『토마스 무어의 아일랜드 멜로디』로 출판했다. 그의 번역은 쿠바 민족주의의 영향을 받아 "El Trovador|엘 트로바도르es"("민스트럴 보이"의 번역) 역시 무어의 원곡처럼 강렬한 어조를 띤다. 그는 "자랑스러운 영혼"을 "espíritu patriota|에스피리투 파트리오타es"(애국적 정신)로 번역하고, "esclavos|에스클라보스es"(노예)에 대한 언급을 유지했는데, 이는 당시 노예제가 폐지되지 않았던 쿠바의 정치적 상황과 직접적으로 관련된 것이었다. 데 멘디베 번역의 마지막 네 줄은 다음과 같다.
:¡노예들이 너의 현을 더럽히지 못하리,
:사랑의 하프여, 네가 장엄하게 울릴 때
:너의 음성은 용감한 자들만이 들을 것이니
:자유로운 마음을 품은 가슴에서!
이 노래는 한 절로 요약된 버전도 존재한다.
:전사 소년은 전쟁에 나섰네,
:죽음의 대열에서 그를 찾으리라
:그의 아버지의 칼을 차고,
:거친 하프를 그의 뒤에 걸었네;
:노래의 땅이여, 전사 시인의 노래는,
:언젠가 너를 위해 울릴 수도 있으리라,
:그러나 그의 하프는 용감하고 자유로운 자의 것이니
:결코 노예제도 속에서 울리지 않으리라!
또한, 미국 남북 전쟁 동안 알려지지 않은 작가에 의해 세 번째 절이 추가되었으며, 때때로 연주에 포함되기도 한다.
:전사 소년이 돌아오기를 기도하네
:우리가 소식을 들을 때 모두 기뻐하리라,
:전사 소년이 언젠가 돌아오리라,
:어쩌면 몸은 상했지만, 정신은 아닐지라도.
:그러면 그는 평화롭게 하프를 연주할 수 있으리,
:하늘이 의도한 세상에서,
:인간의 모든 쓰라림은 사라져야 하고,
:모든 전투는 끝나야 하네.
4. 역사적 배경 및 출판
이 노래는 토머스 무어가 1808년부터 1834년까지 진행한 '아일랜드 멜로디' 프로젝트의 일부로, 1813년에 처음 출판되었다.[1]
노래의 곡조인 The Moreeneng에 대한 기록은 1813년 무어의 출판과 함께 시작되며, 이것이 이 곡이 전통적인 아일랜드 에어라는 주장의 유일한 근거이다.[2] 그 이전의 기록은 존재하지 않으며, 무어의 작업 출처를 조사한 여러 학자들도 명확한 기원을 밝혀내지 못했다.[3][2] 찰스 빌리어스 스탠포드는 1895년에 아일랜드 노래 모음집을 출판하며 이 멜로디의 출처를 주장했으나, 20세기 학자 베로니카 니 친네이드(Veronica Ní Chinnéide)와 21세기 학자 우나 헌트(Una Hunt)는 스탠포드의 연구가 부족했다고 평가했다. 이후 1898년 알프레드 모팻(Alfred Moffatt)의 저서 Minstrelsy of Irelandeng에서 스탠포드의 주장에 대한 수정이 이루어졌다. 헌트의 연구에 따르면, 무어는 기존에 알려진 것보다 더 많은 필사본과 인쇄 자료에 접근할 수 있었다.[1] 또한 헌트는 알로이스 플라이쉬만이 실제로는 무어의 출판보다 이후에 나온 여러 작품을 곡의 출처로 잘못 제시했다고 지적했다.[3]
이 곡은 1816년 조지 톰슨이 편찬한 스코틀랜드 및 아일랜드 에어 모음집에도 무어의 제목으로 실렸는데, 이로 인해 톰슨이 무어에게 곡을 제공했을 것이라는 추측이 제기되기도 했지만, 이를 뒷받침하는 문서 증거는 발견되지 않았다.[3]
'아일랜드 멜로디'는 출판 당시 아일랜드와 영국 전역에서 큰 인기를 끌었으며, 다양한 계층의 사람들에게 알려졌다. "민스트럴 보이"는 이 모음집에서 가장 유명한 곡 중 하나였다. 무어가 사망한 후, '무어의 멜로디(Moore's Melodies)'라는 제목으로 특별판이 제작되었는데, 화려한 삽화와 값비싼 녹색 가죽 표지에 토끼풀과 황금 하프 문양이 새겨져 높은 가격에 대량으로 판매되었다. 이 특별판은 무어의 인기가 확산된 북미 지역에서도 판매되었다.
5. 주제 및 해석
"민스트럴 보이"는 다른 여러 무어의 "아일랜드 멜로디"처럼 우울하고 향수를 불러일으키는 분위기를 지닌다.[2] 노래의 중심 이미지는 하프인데, 이는 찢어진 아일랜드를 낭만적으로 상징한다.[2] 하프는 아일랜드의 국장에도 사용될 만큼 아일랜드인들의 정체성을 나타내는 전통 악기이며,[1] 노래 속에서는 단순한 반주 악기를 넘어 아일랜드 민족 정신 그 자체를 상징한다.[1]
가사 속 "전사 시인"은 아일랜드의 독립과 자유를 위해 싸우다 쓰러지지만, 그의 하프는 "노예제도 속에서 울리지 않으리라"며 불굴의 정신을 보여준다. 이는 노예 상태에 놓이느니 침묵하겠다는 의지의 표현이다. 그러나 무어의 동시대 작가들이 쓴 아일랜드 정치 노래들과 달리, "민스트럴 보이"는 미래의 회복에 대한 명확한 약속을 제시하지는 않는다.[2]
무어 자신의 정치적 견해는 노래 속에 미묘하게 담겨 있다. 그는 1800년대 초 미국과 캐나다를 여행하며 당시 미국에 만연했던 노예제에 대해 강한 비판 의식을 갖게 되었고, 1806년에는 미국의 미래에 대한 희망을 버렸다고까지 표현했다.[2] 이러한 그의 생각은 노예제에 대한 저항을 노래한 가사에 반영된 것으로 볼 수 있다.
하지만 초기 미국 청중들은 이러한 미묘한 정치적 함의보다는 노래가 담고 있는 자유와 해방이라는 보편적 주제에 더 집중했다. 이는 당시 유행하던 민주주의에 대한 낭만적 이상과 맞아떨어졌으며, 노예제에 대한 직접적인 언급은 외면하는 경향을 보였다.[2]
현대 비평가들의 해석은 엇갈린다. 모던 문학 교수이자 『캠브리지 동시대 아일랜드 시집』(2003)의 편집자인 매튜 캠벨은 하프, 칼, "노래의 땅"과 같은 이미지가 "이중 문화 및 정치적 상징성을 지나치게 강조"하며, 노래의 과장된 표현이 바토스(감상적인 과장)에 해당한다고 비판했다. 그는 이를 무어의 다른 유명한 노래인 "여름의 마지막 장미"의 섬세함과 대조된다고 보았다.[2] 반면, 극작가 조지 버나드 쇼는 『존 불의 또 다른 섬』 서문에서 이 노래의 가사를 "선견지명이 있는" 것이라고 평가하며 긍정적인 해석을 내놓았다.[2]
쿠바의 시인이자 독립운동가였던 라파엘 마리아 데 멘디베는 1863년 "아일랜드 멜로디" 전체를 스페인어로 번역했다. 그의 번역은 쿠바 민족주의의 영향을 받아 원작만큼이나 격렬한 어조를 띠며, 특히 "자랑스러운 영혼"을 espíritu patriota|에스피리투 파트리오타es(애국적 정신)로 번역하고, 당시 쿠바의 현실과 직결된 문제였던 esclavos|에스클라보스es(노예)에 대한 언급을 그대로 살렸다.[3] 이는 노래가 다른 문화권의 독립과 해방 투쟁에도 영감을 주었음을 보여준다.
6. 번안 및 번역
라파엘 마리아 데 멘디베는 "아일랜드 멜로디" 전체를 스페인어로 번역하여 1863년 뉴욕에서 『토마스 무어의 아일랜드 멜로디』(Melodías irlandesas de Tomás Moorees)라는 제목으로 출판했다. 그의 번역은 쿠바 민족주의에 영향을 받았으며, "민스트럴 보이"의 번역인 "엘 트로바도르"(El Trovadores)는 원본만큼이나 강렬한 어조를 담고 있다. 특히, 그는 "자랑스러운 영혼"(proud soul영어)을 "애국적 정신"(espíritu patriotaes)으로 번역했으며, 당시 쿠바에서 약 20년 후에야 폐지될 노예제와 직접적으로 관련된 정치적 주제였던 "노예"(esclavoses)에 대한 언급을 그대로 유지했다. 이는 쿠바의 현실을 반영한 번역으로 평가받는다. 데 멘디베 번역의 마지막 네 줄은 다음과 같다.
:¡노예들이 너의 현을 더럽히지 못하리,
:사랑의 하프여, 네가 장엄하게 울릴 때
:너의 음성은 용감한 자들만이 들을 것이니
:자유로운 마음을 품은 가슴에서!
원곡의 두 절을 하나로 압축한 단일 절 버전도 존재한다.
:전사 소년은 전쟁에 나섰네,
:죽음의 대열에서 그를 찾으리라
:그의 아버지의 칼을 차고,
:거친 하프를 그의 뒤에 걸었네;
:노래의 땅이여, 전사 시인의 노래는,
:언젠가 너를 위해 울릴 수도 있으리라,
:그러나 그의 하프는 용감하고 자유로운 자의 것이니
:결코 노예제도 속에서 울리지 않으리라!
미국 남북 전쟁 시기에는 작자 미상의 세 번째 절이 추가되어 때때로 연주에 포함되기도 했다. 이 절은 전쟁으로 상처 입은 병사가 돌아와 평화 속에서 하프를 연주하기를 기원하는 내용을 담고 있어, 전쟁의 종식과 평화에 대한 염원을 나타낸다.
:전사 소년이 돌아오기를 기도하네
:우리가 소식을 들을 때 모두 기뻐하리라,
:전사 소년이 언젠가 돌아오리라,
:어쩌면 몸은 상했지만, 정신은 아닐지라도.
:그러면 그는 평화롭게 하프를 연주할 수 있으리,
:하늘이 의도한 세상에서,
:인간의 모든 쓰라림은 사라져야 하고,
:모든 전투는 끝나야 하네.
7. 다른 작품에 미친 영향
벤자민 브리튼은 자신의 오페라 ''오웬 윙그레이브''에서 "민스트럴 보이"를 여러 차례 인용했다. 주요 등장인물인 레크메어와 오웬은 1막 1장에서 원곡의 멜로디를 그대로 사용하지 않고 약간 변형된 버전을 부른다. 음악사 교수 J. 하퍼-스코트는 브리튼이 오페라 관객들이 이 곡을 알고 있거나 최소한 그 유형을 인식할 것이라고 가정했을 것으로 분석했다.
레크메어의 노래는 첫 아르페지오 이후 원곡에서 벗어나며, 여러 지점에서 반음과 온음씩 점차 음높이가 낮아져 원래 음높이보다 완전 4도 아래에서 끝난다. 오웬의 노래는 더욱 변형되어, 음높이가 점차 장 3도 아래로 떨어질 뿐만 아니라 일부 음표가 생략되기도 한다. 레크메어는 악보에 인용 부호로 표시된 무어의 원 가사를 사용한다. 반면, 1막 마지막 장면의 필립 경은 멜로디를 사용하고 오웬보다는 원곡에 가깝게 부르지만, 가사는 "for right and England"라는 마지막 두 단어에 적용한다.
이 멜로디는 오페라 전체에서 다양한 지점에서 변형되어 사용되는데, 예를 들어 레크메어가 케이트에게 "But Kate, does he reject you?"라고 노래할 때 원곡 멜로디의 덜 변형된 버전을 사용한다.
찰스 빌리어스 스탠퍼드는 아일랜드의 현대 정치에 대한 노골적인 논평을 음악에 담았으며, 그의 ''네 번째 아일랜드 랩소디'' 악보 서문에 "민스트럴 보이"의 첫 연을 인용하기도 했다.
미국 해병대 밴드의 지휘자였던 존 필립 수자는 "마더 허바드 행진곡"(1885)에 이 곡의 요소를 포함시켰다.[2]
제임스 조이스는 이 노래를 ''피네건의 경야''에서 "벽으로 간 레인스트렐 소년"(the Wrenstle-boy to the walleng)으로 패러디했다. 그의 소설 ''율리시스''에 등장하는 헨리 플라워라는 인물이 "그의 레이피어에 이끌려 문으로 미끄러져 들어가고, 그의 야생 하프는 그의 뒤에 매달려 있다."(sliding into the door knocker with his rapier, his wild harp slung behind himeng)고 묘사된 부분은 이 노래 가사("The minstrel boy to the war is gone, / In the ranks of death you'll find him; / His father's sword he has girded on, / And his wild harp slung behind him.")를 직접 인용한 것으로, 잃어버린 사랑을 노래하는 음유 시인과 같은 레오폴드 블룸의 가명으로서의 면모를 암시한다. 조이스는 자신의 작품에서 토머스 무어의 많은 작품을 언급했지만, 때로는 약간의 무례함을 보이기도 했는데, 이는 W. B. 예이츠도 마찬가지였다.
윌리엄 브로는 1857년 빅토리아 시대 부르스크 ''랄라 루크''(무어의 ''랄라 루크''에서 이름을 따옴)에서 다음과 같이 가사를 패러디했다.
:음유 시인은 마을을 통해 알려져 있고,
:각 조용한 거리에서 그를 발견할 수 있을 것입니다.
:주인의 오르간과 함께 - 그것은 결코 그의 것이 아닙니다.
:그리고 그의 뒤에 이끌린 원숭이.
:"짚을 깔아 놓으세요!" 음유 시인이 외칩니다.
:"여기 아픈 사람이 조용함을 필요로 합니다.
:'보빈 주변'이 이 집을 짜증나게 할 것입니다.
:어쨌든 시도해 보겠습니다!"
:
:음유 시인은 갈고, 희생자들은 지불합니다.
:그의 주장에 그는 강요당합니다!
:그런 다음 시인의 연구로 그의 길을 갑니다.
:예술과 과학의 사람들에게.
:그리고 외칩니다. "친구여, 당신은 헛되이 노력할 것입니다.
:책, 펜 또는 이젤로;
:한 방랑하는 부랑자가 당신의 작품을 망칠 것입니다."
:그는 "[Pop goes the weasel"을 연주합니다.
이 곡의 멜로디는 볼프강 아마데우스 모차르트의 플루트 4중주 K. 298(1787년경 작곡)의 주제와 매우 유사하며, 조르주 비제의 오페라 ''카르멘'' 3막 간주곡(1875년 작곡)과도 어느 정도 유사성을 보인다. 이 전통적인 곡조가 모차르트에게 영향을 미쳤는지, 또는 두 원전 중 어느 것이 비제의 간주곡 사용에 영감을 주었는지는 명확하지 않다.
8. 주목할 만한 공연 및 녹음
1998년 영화 라이언 일병 구하기와 2001년 영화 블랙 호크 다운에 삽입되었다.
이 곡은 출판 이후 수 세기 동안 수많은 연주가 이루어졌다. 아일랜드 테너 존 맥코맥, 미국 배우이자 가수인 폴 로베슨, 아일랜드 민요 가수 톰 클랜시, 아일랜드 가수 셰인 맥고완, 그리고 영국 가수 조 스트러머와 그의 밴드 The Mescaleros 등이 이 곡을 녹음하거나 공연했다. 특히 조 스트러머의 버전은 한스 짐머가 편곡하여 영화 ''블랙 호크 다운'' 사운드트랙에 사용되었다. 이 외에도 여러 가수가 자신의 "아일랜드 노래" 또는 "즐겨 부르는 노래" 모음집에 이 곡을 수록했다.
기타 주목할 만한 공연 및 사용 사례는 다음과 같다.
- 존 포프 헤네시는 홍콩 총독으로 재임하는 동안 27번째 이니스킬링 연대가 정부 청사를 비롯한 공식 행사에서 "민스트럴 보이"를 연주하도록 했다.
- 2002년 4월 9일 런던에서 열린 엘리자베스 보우스라이언 여왕 모후의 장례식에서, 아일랜드 및 스코틀랜드 연대의 파이프와 드럼 부대가 웨스트민스터 홀에서 웨스트민스터 사원으로 행진하는 동안 이 곡을 연주했다. 엘리자베스 보우스라이언 여왕 모후는 아일랜드 연대 군인들과 오랜 관계를 맺고 있었으며, 매년 성 패트릭의 날에 그들에게 토끼풀을 선물했다.
- 9.11 테러 10주년인 2011년 9월 11일, 세계 무역 센터 기념관 개관식에서 연주되었다.
- 미국 드라마 스타 트렉: 넥스트 제너레이션의 86번째 에피소드 "상처받은 자"에서 아일랜드 출신 배우 콜름 미니가 연기한 마일스 오브라이언 캐릭터가 이 노래를 부르는 장면이 나온다.
- 아일랜드 싱어송라이터 엘리너 맥에보이는 토머스 무어의 노래들을 재해석한 2017년 앨범 ''The Thomas Moore Project''에 이 곡을 녹음하여 수록했다.[3]
참조
[1]
웹사이트
The Minstrel Boy
https://www.vwml.org[...]
[2]
웹사이트
Mother Hubbard March
https://www.marineba[...]
[3]
웹사이트
The Thomas Moore Project - Eleanor McEvoy
https://folkandtumbl[...]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